망치를 든 남자 / 윤온강
사람이 살아가면서 수행하는 많은 역할 중에는 자기에게 맞지 않는 것도 꽤 있을 것이요, 그래서 마음에 들지 않는 역인데도 하는 수 없이 맡아서 하는 사람 또한 적지 않을 것이다.
직업도 그런 것 중의 하나가 아닐까? 나는 자기 직업에 정말 만족해하는 사람을 별로 만나 보지를 못하였다. 다른 사람은 제쳐두고 나 자신도 내 직업이 적성이 맞는 것인지 자문해 본 것이 한두 번이 아니다. 교단에 선 지 몇 달도 채 안 되어 이 직업이 내게 맞지 않는 것이 아닐까 하는 의문이 생긴 것은 전혀 엉뚱한 데서였다.
지금은 세월이 좋아서 성적일람표를 컴퓨터가 만들어 주고 있지만 그때는 그것이 교사에게 가장 큰 일거리 중의 하나였다. 그런데 이 성적일람표를 나는 단번에 만들 수 없었다. 이름을 쓰고 과목별 성적을 적어 나가는데 번호를 다섯 명 빼놓고 시작한다거나, 거의 완성됐다 싶으면 이번엔 잉크를 엎질러서 버려 놓기 일쑤였다. 이렇게 수없이 실수를 되풀이한 뒤에야 한 장을 간신히 만들 수 있었기에 드디어 나는 교직이 나에게 부적합한 직업이 아닐까 하는 의심을 품기에 이른 것이다. 그러던 내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차츰 적응해 간 것을 보면 사람에게는 정말 맞지 않는 직업은 없을지도 모른다고 감탄해 마지않게 된다.
가끔 나는 지금의 직업이 아닌 다른 직업을 가졌을 수도 있었다는 생각을 해 본다. 누구에게든 그런 계기는 많든 적든 있게 마련이다. 나에게도 그런 기회가 몇 번 있었으나 오래도록 잊지 못하는 사건이 일어난 것은 대학 3학년 때였다.
그 당시 연극에 꽤 심취해 있던 나는 큰 용기를 내어 연극반에 가입했다. 그때 그 연극반은 윌리엄 사로얀이라는 미국 작가의 희곡 <혈거부족(穴居部族)>을 무대에 올릴 준비를 하는 중이었다. 먼저 '책 읽기(대본 읽기)'가 시작되었다. 얼마 후면 헐릴 낡은 건물에서 거지들끼리 왕이니 왕비니 서로 부르면서 사는, 없는 자들의 생활을 서정적으로 그린 작품이었다.
그 연극의 중심인물은 두말 할 것도 없이 왕이었다. 비록 거지이긴 했으나 왕다운 말투와 몸짓, 그리고 그 대사가 참 멋이 있었다. 희화적(戱畵的)인 내용 같지만 오히려 찡한 감동을 주는, 페이소스가 담긴 작품이었다. 나는 신참인 주제에 감히 이 연극의 히어로인 왕 역을 맡으리라 마음먹고 열심히 연습에 참가했다. 내가 왕 역의 대사를 읽을 때가 많았고 나는 그럴 때마다 그럴듯하게 읽었다. 내 딴엔 내가 제일 잘 하는 것 같았다. 어리석게도 나는 내가 주역을, 아니 주역이 아니라도 좀 비중이 큰 역을 맡으리라 기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보름 후 배역을 발포하는데 나는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 폐허를 철거하는 공사장 인부 중의 한 사람으로, 그것도 대사 한 마디 없이 망치를 들고 지나가는 남자 역이 내게 돌아온 배역이었던 것이다. 나는 기가 막혔다. 그걸 연극에 출연했다고 구경 올 친지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내 실력을 그렇게 몰라줄 수 없었다. 그때의 내 낙담, 실망, 연출자에 대한 원망, 배신감….이런 것이 얼마나 컸었는지는 지금 잘 떠오르지 않는다. 다만 지금도 분명히 기억나는 것은 이튿날 당장 그 연극 연습에서 발을 끊은 사실이다(내 평생 이렇게 과단성이 있는 행동은 전무후무했던 것 같다).
그 후 막을 올린 그 연극을 보러 갔더니 나 대신 다른 사람이 망치를 들고 무대를 지나가고 있었다. 성공적인(?) 장면이었다. 나는 그때 웬일인지 가슴 한 구석으로 아린 통증 같은 것이 지나가는 걸 느꼈다. 내가 저 망치를 들고 지나갔어야 하는 건데….
왜 그런 생각이 그때 들었는지 나는 그 이유를 오랜 후에야 깨닫게 되었다. 나는 그 일로 인하여 그토록 좋아했던 연극과 영영 거리가 멀어졌던 것이다. 그때 그 연극에 출연했던 인물들과 거기 관계했던 스태프들은 그 후 모두 우리나라 연극계와 방송계의 중진으로 성장했다. 내가 망치를 들고 지나갔으면 나도 그들 중의 하나가 되었으리라.
그렇다. 나는 그때 망치를 들고 지나갔어야 했다. 그랬으면 내 인생은 좀 더 풍요로워졌을지도 모른다. 그랬으면 연극을 지금처럼 배신한 연인인 듯 씁쓰레하게 그리워하진 않았으리라.
오랜 후 내가 뒤늦게 깨달은 것은 모든 사람이 그런 단역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사실이다. 대극작가 세익스피어는 극장 손님들의 마차를 지키는 사람이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겨울철에 자기 상전의 신발을 품속에 넣어 녹여 내놓는 충직한 하인이었다.
그러니 인생은 도박이 아니다. 단역부터 출발하여 차근차근 계단을 밟아 올라가는 것이 삶의 올바른 방식이요, 생의 보람은 그런 데서 찾아야 하는 것이다. 요즈음 젊은이들이 일확천금이나 벼락출세를 꿈꾸는 것을 보고 개탄하다가도 문득 내 젊은 시절의 어리석음이 떠올라서 낯이 붉어진다.
그래서 나는 가끔 후배들에게 이야기한다. 망치를 들 일이 있으면 주저 없이 들어야 한다고. 지나고 보면 그것이 자기에게 주어졌던 유일한 기회였을지도 모르는 일이니까. 그리고 하찮은 것일는지 몰라도 그 망치야말로 인생의 질곡을 깨뜨리고 새로운 운명을 개척하는 도구가 될지도 모르는 일이라고.
'수필세상 > 좋은수필 5'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수필]단단한 슬픔 / 황미연 (0) | 2021.06.10 |
---|---|
[좋은수필]미안한 책 / 안도현 (0) | 2021.06.09 |
[좋은수필]말굽자석 / 조이섭 (0) | 2021.06.07 |
[좋은수필]아버지 게밥 짓는다 / 김옥자 (0) | 2021.06.06 |
[좋은수필]손수건 / 목성균 (0) | 2021.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