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필세상/좋은수필 4

[좋은수필]향기를 찾아서 / 남민정

향기를 찾아서 / 남민정

 

 

 

오늘도 남편은 배낭을 둘러메고 새벽에 길을 떠났다. 충청도 어느 마을에 있는 장터를 찾아가는 것이다. 그곳에 가면 좋은 누룩을 파는 한 노인이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한다. 장터를 돌다가 오는 그의 배낭 속에는 누룩이 들어 있을 테고, 다음에 찾아갈 시골 장터의 이름이 적힌 쪽지도 들어 있을 것이다.

남편에게는 소망이 하나 있다. 맛과 향기가 뛰어난 좋은 술을 만드는 것이다. 사람들이 즐겨 마시는 술에는 종류에 따라 독특한 향기가 있고, 그 향기는 꽃의 향기처럼 다채롭고 여느 향기와는 달리 오묘함이 깃들어 있다고 한다. 그가 만들고 싶은 술은 우리나라 전통 술인 집에서 빚는 가양주(家釀酒)이다

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시작했다고 한다. 어느 나라 어느 곳을 가도 그 지방에서 나는 특이한 재료로 향기 있는 술을 만들어 즐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술의 문화는 그 집안의 문화이고 그 지방의 문화이며 그 나라의 문화라는 얘기도 있다.

남편이 어렸을 때에 시아버님은 시골에서 양조장을 운영하시면서도 집에서는 민속주를 직접 빚으시면서 맛과 향이 뛰어난 술 만드는 법을 찾으셨다고 한다.

남편은 술을 전혀 하지 못한다. 술 한 잔이면 얼굴이 붉어지고, 술 석 잔이면 잠이 든다. 그래서인가 술 만들기에는 관심이 없더니, 나이 지긋해진 어느 날, 아버님께 향기가 좋은 술을 만들고 싶다고 말씀드렸다. 당신이 하시던 일을 하겠다는 자손이 없어 양조장도 처분하신 아버님은 손때 묻은 온도계와 비중계를 꺼내 주시며 기뻐하셨다.

그는 종이를 들고 앉아 아버님께 향기 좋은 술을 만드는 독특한 비결을 여쭈었다.

반생반숙(半生半熟)하고 불한불열(不寒不熱)하여라.”

한 마디만 일러주신다. 뜻을 헤아려보니 술밥을 지을 때는 반은 설고 반은 익도록 하라는 뜻이고, 발효 조건은 차지도 않고 덥지도 않게 하라는 뜻이었다. 불한불열의 온도가 몇 도쯤이냐고 다시 여쭈어 보니,

동짓달 나뭇간 바닥에 묻어 두었느니라.”

하시며 자리에서 일어나신다. 물건 하나를 만들어도 계산자로 계산하고 줄자로 재며 만들어야 하는 그에게 반생반숙의 술밥 익히기와 동짓달 나뭇간 바닥 같은 불한 불열의 온도 찾기는 인내심과 노력이 필요한 과정이었다. 술밥은 찌고 또 찌고, 술 담기는 실패하고 다시 담고 하기를 수도 없이 반복해야 했다.

어느 정도 연습이 끝나자, 이제는 좋은 누룩을 찾아 시골 장터를 다녔다. 먼 길을 다녀 누룩을 구해오면 우리 집은 부산해지기 시작한다. 누룩을 손절구에 넣어 빻는다. 물맛이 좋은 경기도 포천에 가서 물을 길어온다. 반은 설고 반은 익어야 하는 술밥을 찐다. 술 담을 항아리를 닦고 또 닦아서 햇볕에 말린다. 그런 여러 가지의 일을 하루에 끝내야 하기 때문에 집안은 분주하기 그지없다.

술을 담을 때에는 꼭 지켜야 할 규칙이 있다. 좋은 쌀로 알맞게 익힌 술밥과 질 좋은 누룩, 맛이 좋은 물과 깨끗한 항아리, 정결하게 다루는 정성과 알맞은 온도이다. 그 중에서 한 가지만 소홀해도 맛과 향이 좋은 술이 될 수 없기에 하나하나에 정성을 들여 다루어야 한다.

그러한 과정을 지나 모든 재료가 항아리에 들어가면 그 항아리는 시아버님이 물려주신 온도계를 달고 알맞은 온도를 찾아서 안방에 놓았다. 거실로 옮기고, 앞 베란다와 뒷 베란다까지 옮겨 놓기도 한다. 덩치 큰 항아리가 작은 온도계를 몸통에 달고 바삐 이리저리 돌아다니는 것을 보면 웃음이 절로 나온다.

남편이 출근을 하면 술 항아리를 이동시키는 것은 내 몫이 된다. 귀찮아서 온도가 올라가도 모른 체 하기도 하고, 힘들다고 투정을 하면 화가 난 그가 항아리를 차에 싣고 출근하기도 했다.

그렇게 해서 술이 익어갈 때쯤 다시 2차 담금을 해야 한다. 그때는 찹쌀을 가루로 만들어 익혀서 누룩과 함께 먼저 담은 술에 섞는 과정이다. 그리고 그 술이 익어 가면 2차와 같은 방법으로 3차 담금을 또 한다. 술은 여러 번 나누어 담을수록 맛과 향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열흘이 지나면 술 익는 냄새가 집안에 가득하고 그는 겸허한 자세로 앉아 항아리를 열고 술을 거른다.

곰팡이에 의한 절묘한 변화라고 한다. 표현할 수 없는 향기로움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시아버님이 아니다라고 한 말씀만 하시면, 그는 다시 술밥을 찌고 누룩을 절구에 넣으며 묵묵히 그 일을 다시 시작한다.

남편은 왜 그렇게 어려운 술을 만들려고 할까. 시냇물이 흐르던 곳에 있던 고향집, 그때 그곳에 있던 부모 형제에 대한 그리움 때문일까. 아니면 석류나무가 유난히 많았다는 양조장 마당에서 뛰어놀며 맡았던 술 향기에 대한 그리움인가. 내가 가끔 물어도 그는 대답이 없다. 그는 어쩌면 자기가 원하는 술의 향기를 못 찾을 수도 있다. 그러나 사람들 마음속의 향기는 물론이고, 자연에서 나는 향기들도 점점 사라져 가고 있는 이때에, 향기로운 것을 찾으려고 하는 그 과정이 더 향기로운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 본다.

남편은 더 나이가 들면 시골에 내려가 술을 빚으며 살겠노라 한다. 우리나라의 봄은 두견주와 여무는 진달래로 저문다했다. 그가 술 항아리 옆에서 온도계와 비중계를 들여다보고 있는 봄날, 나는 무엇을 할까. 뒷뜰 앵두나무 아래에 항아리 대여섯 개 묻어놓고 진달래꽃으로는 두견주를 담고, 복사꽃으로는 도화주를 담을까. 늦가을에는 국화주를 담으며 겨울을 기다리리다.

늦은 밤, 남편은 아직 돌아오지 않는다.

좋은 누룩과 항아리, 그리고 맑은 샘물을 찾아 떠난 길, 향기를 찾아서 떠난 여행이다. 지금쯤 그는 둥그런 누룩 한 덩이 등에 지고, 우리네 인생살이도 너무 뛰어나지도 너무 뒤지지도 않게 반생반숙하듯 살고, 함께 사는 사람들과도 너무 차지도 너무 뜨겁지 않게 불한 불열의 알맞은 정을 나누고 살며, 동짓달 나뭇간 바닥 같은 편안하고 따스한 마음으로 남은 세월 살고 싶다고 생각하며 집으로 돌아오고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