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발 / 김희자
남편은 오늘도 탁발승처럼 종일 세상을 헤매다가 들어왔다. 작은집으로 돌아온 그는 침대 위에 쓰러져 잠이 들었다. 나는 침대 끝에 숨을 죽이고 앉아 이불 밖으로 나온 남편의 맨발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작고 핏기 없는 맨발을 보니 눈이 시리다. 몸 중 가장 늦게 세상에 나와 제일 낮은 곳에서 큰 하중을 견뎌내는 것이 발이다. 애잔한 발을 가만히 보다가 손끝을 슬쩍 갖다 댄다. 그는 날 선 세상에 맨발을 베듯 움찔 놀라며 발을 거두어들인다.
맨발로 세상을 이끄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남편처럼 자신을 던져 일가를 지키는 사람도 있다. 하룻밤을 빌려 저렇게 쉬고 나면 내일 아침 또다시 길을 가야 하는 사람이다. 두툼하지 않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어머니의 품을 떠나 할머니의 그늘에서 유년을 보냈다. 낮에는 공장에서 일을 하고 밤에는 대학을 다녀 엔지니어가 되었다. 성당에서 연이 닿은 그와 나는 내일을 꿈꾸며 혼배를 올렸다. 남편이 가진 재산이라고는 선한 성품과 험한 세상을 헤쳐 나갈 수 있는 나직한 발이 전부였다. 물질보다는 사랑의 힘이 더 위대하다고 믿으며 그와 함께 맨발로 길을 들었다.
남편은 휴일도 없이 맨발에 물집이 잡히도록 일을 했다. 나는 앞날의 희망에 가득 차서 조그만 구멍가게를 차려 살림에 보탰다. 나이테를 만드는 세월처럼 날이 갈수록 통장의 동그라미는 늘어갔다. 성실한 그는 최고의 기술자로 인정받아 직장도 옮겼다. 꿈꾸는 날도 서서히 다가서는 듯해 달떴다. 선량한 그의 성품이 다른 사람의 미끼가 될 줄은 차마 몰랐다. 철석같이 믿고 마음을 보냈던 동료에게 발등을 찍혀 일구어 온 모든 것이 산산이 부서졌다. 느닷없이 닥친 불운을 처음에는 세상 탓으로 돌리며 맨발로 땅을 쳤다.
이름 석 자를 빌러주었다는 이유로 아무런 손도 쓰지 못한 채 맨발로 다시 세상에 섰다. 계속되는 채권자의 빚 독촉에 하루가 열리는 것을 두려워했다. 입에 풀칠하기 바쁜 부모에게 도와달라고 손을 내밀 수도 없었고 배짱 또한 두둑하지 못해 피붙이들의 도움을 얻지 못했다. 그는 십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신용불량자라는 멍에를 지고 절뚝거렸다. 무거운 세월을 지고 오는 동안 온몸의 마디마디는 시린 빗줄기로 박히고 지독한 인내로 말없이 사는 법을 터득했다.
보이지 않는 길 위에서 가장인 그가 맨발로 부대껴 온 하루하루는 얼마나 험난했을까. 그의 수척한 발을 보면 슬픈 이유는 자신이 감당하지도 못할 짐을 혼자 지고 왔기 때문이다. 고달프게 지고 온 짐을 겨우 내려놓는가 싶더니 후유증으로 병까지 얻어 주저앉았다. 의사는 오십 고개를 넘기 전에 골수이식을 하라고 권했지만 그는 견디어 보겠노라며 포기했다. 고초를 겪은 나에게 미안쩍어 누울 수가 없다고 했다. 그는 언제나 물질 앞에서 주저앉는 맨발의 사내였다. 원수 같은 돈은 눈이 멀었는지 비껴갔다.
간난한 사람의 아내로 살아가는 길 또한 험난했다. 바쁜 꿀벌처럼 슬퍼할 틈도 없이 부지런히 몸을 굴러야 했다. 그를 따라 비 온 뒤의 진흙탕에 빠지기도 했고 뜨거운 자갈밭을 서푼서푼 걷기도 했다. 피할 수 없는 오물을 만나 미끄러지기도 했고 돌부리에 걸러 발을 베이기도 했다. 그와 함께 걸었던 나의 맨발은 언제나 만신창이가 되었다. 궁핍한 사람은 넘어졌다 다시 일어서기에도 숱한 시간이 걸렸다.
그가 주저앉아 일어나지 못할 때 발만 동동 구른 사람도 함께 가는 나였다. 바닥으로 내몰린 처지를 부정하고 회피하려고 발버둥 쳤지만 헛수고였다. 한 지붕 아래서 살았지만 수 년 동안 입을 봉한 채 살았다. 내가 안달복달할 때마다 남편의 발에는 궁핍이 누룽지처럼 눌어붙었고 텅 빈 가슴에는 빈곤함이 쌓여 갔다. 하지만 그는 가솔을 위해 비칠거리며 걷고 또 걸었다. 자신이 아니면 회사가 돌아가지 않는 양 곱절로 일을 했다. 손발이 작은 사람은 일복을 타고 난다더니 노상 일에 묻혀 헤어나지 못했다. 일에 치여 파김치가 되어 돌아오면 검불처럼 늘어져 곤드레만드레가 되었다.
지난한 삶에 지쳐 “이대로는 도저히 살 수 없다!”고 용단했을 때 그는 무릎을 꿇었다. 나를 위해 다시 설 수 있는 기회를 달라며 눈물을 보였다. 나는 그때 내 남자의 슬픈 눈을 보았다. 전생에 무슨 죄를 지어 고난의 십자가를 떠맡고 가는지 안쓰러워 울며불며 두 손을 잡았다. 부드럽던 그의 발은 여기저기에 옹이가 박히고 되돌릴 수 없는 시간들이 맨발에 생채기를 남겼다. 속내를 잘 드러내지 않던 그도 별 탈 없이 일어선 친구 집을 다녀오거나 형제들 간의 키 재기에 밀리는 날에는 쓸쓸해 보였다. 그런 날이면 가슴으로 숨을 쉬는 것이 아니라 어깨를 들썩이며 뒷모습을 보였다. 견고해 보이던 그의 등도 요동을 쳤다.
욕심을 버리고 낮아져야 삶이 유해진다 했던가. 내일 쓰러져도 오늘에 혼신을 다하는 남편과 금쪽같은 두 딸이 있어 나는 이 험로를 걷는 것이 아닐까. 그는 나에게 온갖 정성을 다하건만 나는 상처투성이인 그의 발을 한 번도 어루만져준 적 없어 무안하다. 사랑했던 날보다 원망했던 날이 더 많았지만 아옹다옹했던 세월들이 저만치 멀어져 간다. 곤하게 잠든 그의 맨발을 보고 있자니 지난 세월들이 파도가 되어 가슴에 일렁인다. 이젠 모순투성이였던 어설픈 삶에서 벗어나고 싶다.
맨발이란 바닥에서 시작한다는 뜻이다. 상처 또한 입기 쉬우며 홀로 서는 것이다. 맨발로 뛰는 사람들은 내일을 위해 지칠 줄 모른다. 그들의 발에는 옹이가 생기고 피멍과 상처투성이지만 맹렬한 사해(四海)에서 나아간다. 치열하고 험난한 세상에서 앙버티고 서려면 무엇이든 해보겠다는 용기와 진득한 열정이 필요하다. 서슬 퍼런 세상에서 상처가 나 자리를 틀어도 맨발로 나아가겠다는 일념만 품는다면 분명코 뜻을 이룰 수 있으리라. 속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끝까지 가는 사람이 인생의 승리도 할 수 있다.
남편과 나는 가시밭길의 끝에 서 있다. 이 길 끝에는 분명 희망이 기다리고 있을 것이다. 이제는 가시덤불이 두렵지 않다. 긁히고 갈라져 상처가 덧나도 아무는 것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상처에는 언제나 새살이 돋기 마련이다. 쓰리고 아픈 맨발을 가슴에 묻고 슬픈 세월을 견디었기에 그의 발은 성스럽다. 남편은 가끔 낮은 톤의 목소리로 "미안하오!" 하며 내 발을 끌어당긴다. 세상과 부딪히며 미숙한 길을 함께 걸어온 나의 맨발을 씻어준다. 자신의 발보다 더 굳은살이 앉고 건조해진 발을 어루만져 주면서도 아무런 말이 없다.
이불 속으로 들어갔던 남편의 발이 다시 쏙 나온다. 작은 발을 두 손으로 살포시 감싼다. 연습 없는 인생을 걸어오며 매 순간 가슴 졸이며 얼마나 막막했던가. 신산한 세월을 헤쳐 온 지금 기쁨도 슬픔도 모든 것은 흘러간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사랑하게 되면 힘들고 어려운 길도 함께 갈 수 있고 만신창이가 된 발을 말없이 씻어줄 수도 있다. 죽은 부처님도 평생 길 위에서 맨발로 살다가 열반에 들었고 예수님도 제자들의 맨발을 씻어주지 않았는가. 어쩌면 우리 모두는 맨발로 와서 세파를 견디다 맨발로 돌아가는 존재들이 아닐는지…….
'수필세상 > 좋은수필 2'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수필]허무가 아닌 것을 찾아서 / 김태길 (0) | 2013.06.30 |
---|---|
[좋은수필]참는 것에 대한 분노 / 권남희 (0) | 2013.06.30 |
[좋은수필]닳아버린 재봉틀 / 안 숙 (0) | 2013.06.28 |
[좋은수필]내 앞의 문 / 성냑향 (0) | 2013.06.27 |
[좋은수필]해피앤딩 / 허창옥 (0) | 201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