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필세상/좋은수필 2

[좋은수필]나도 찔레 / 오창익

나도 찔레 / 오창익

 

 

 

 

“저게 찔레 아니야?”

“미쳤어, 저런 걸 다 심고!”

꽃도 아니고 나무도 아닌 걸 심었다는 비아냥이다. 삼십대 전후로 보이는 남녀 한 쌍이 조깅을 하며 바람처럼 던진 말이다. 그로 인해 모처럼의 신선한 아침, 산책길이 무거워졌다. 며칠 전의 일이다.

나는 아침마다 경의선 철길 옆으로 난 산책로를 걷는다. 일산 신도시가 들어설 때 외곽 순환로를 따라 국제 규모로 조성된 숲길이다. 주목과 오엽송, 은행과 꽃단풍, 은사시와 플라타너스가 줄을 서고, 융단을 펼친 듯 파란 잔디도 깔려 있어 한 시간 남짓 걷고 나면 몸도 마음도 가벼워진다.

그런데 그 날은 ‘꽃도 아니고…’란 한 마디가 자꾸만 발길에 걸렸다. 하기야 그 젊은 남녀의 말이 전혀 틀린 것도 아니었다. 큰 맘 먹고, 큰 돈 들여 조성한 산책공원에다 볼품없는 가시나무꽃, 그것도 잡초나 잡목이듯 산야에 버려져 자생하는 찔레를 심었다는 것 자체가 잘한 일도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내 생각은 좀 달랐다. 심은 것이 아닐 수도 있고, 설사 심었다 해도 장미로 착각한 오식은 아니라는 믿음에서다. 신도시가 들어서기 전 이 곳은 분명 논이었고 밭이었을 터. 더구나 산책로가 닦인 여기는 철길이 휘돌아간 지형으로 보아 찔레가 대를 이어 살아오던 야트막한 산자락이었을 것이다.

하면, 이 찔레야말로 포크레인이 산자락을 갈아엎을 때 운좋게도 지표 가까이에 묻혔던 유일한 생존자, 먼 먼 자기 조선祖先으로부터의 유일한 대이음이, 아니 배꼽 떨어진 제 탯자리에 뿌리내린 유일한 고향 지킴이가 아닌가.

그도 아니라면, 이 찔레야말로 주어진 제 명命을 펴지도 못하고 요절한 장미 대신 그 잔명殘命을 이어주는 봉사와 헌신의 넋일 수도 있다는 생각에서다. 본시 꽃 중의 꽃이란 장미는 생장력이 아주 강한 찔레에 접목하여 영화를 누리는 꽃이 아니던가. 전문 조경사가 어찌 찔레와 장미를 구분하지 못했겠는가. 필시 접목 부위가 부실했거나 아예 윗부분이 떨어져나가 어쩔 수 없이 장미를 대신 살아주는 찔레일 것이다.

하면, 꽃도 아니고 나무도 아닌 존재가 아니라 얼마나 가상하고도 갸륵한, 아니 슬프기까지 한 ‘가시나무꽃’인가. 그래서 어느 가인歌人도 이렇게 노래했던가. ‘찔레는 슬퍼요… 그 향기도 슬퍼요… 그래서 목놓아 울었어요’라고.

십 여 년 전이다. 내가 근무하던 학교 주변엔 찔레가 유별났다. 오월만 되면 잠깐 동안이기는 했지만, 장미 있던 자리에 하얀 찔레가 피어나 눈이 부셨다. 그도 역시 노쇠한 장미가 제 구실을 하지 못 하자 접목 하단부에서 찔레가 돋아나 영화를 대신하던, 잔명을 이어주던 갸륵한 날갯짓이었다. 하지만 그 깊은 속내를 헤아리지 못하는 비정한 관리인은 ‘꽃도 아닌 것’이란 생각으로 피기가 무섭게 베어 버리곤 했다. 하여 계절의 여왕이란 오월이지만 번번이 그 한 자락을 애끈하게 접곤 했다.

이런저런 생각을 하여 걷다 보니 되돌아가야 할 육교 밑을 한참이나 지나쳤다. 그때다. 멀리까지 뛰어갔던 좀 전의 젊은 남녀가 내 옆을 비켜가며 가벼운 눈인사를 한다. 말투와는 달리 꽤나 선한 얼굴이었다. 그랬다. ‘꽃도 아닌 것’이란 비아냥은 그만 접기로 했다. 장미 대신 살아주는 갸륵함이나 외롭지만 제 땅에 뿌리내려 고향을 지키는 그 깊은 속사정을 알 리 없는 젊은 그들이니까.

하지만 예의 그 찔레에게만은 뭔가 한 마디를, 사과이든 위로이든 해야 할 것 같아 돌아서서 걸음을 재촉했다. 이윽고 찔레꽃 무덤 앞에 다가섰다. 자잘한 꽃잎들은 어젯밤에 살폿 내린 가랑비로 신선했다. 해맑았다. ‘미안하다’ 인사라도 하듯 나는 꽃무덤에 조심조심 코를 묻었다. 그때, 코끝을 간지르며 울컥 쏟아내는 살 냄새, 고향 냄새……. 뿐인가, 그 냄새에 묻어나는 찔레의 속삭임이 환청으로 들리기까지 했다.

“오 선생, 난 슬퍼하지 않아요. 그런대로 고향에서 피붙이와 살 비비며 살고 있으니까요.”

살 비비며? 얼굴을 들어 다시 보니 정말로 만만찮은 가솔이었다. 공원을 조성한 지가 십수 년이 지났으니 그럴 만도 했다. 장정 예닐곱이 팔을 벌려야 둘러설 만치 꽤나 번성한 일가一家였다. 찔레 일가. 공원 한 모서리에 보일 듯 말 듯, 숨은 듯 나선 듯 살고는 있지만, 아직은 꺾이지도 베어지지도 않고, 어찌 보면 의연하게 일가를 이루고 있으니 불행 중 다행 아닌가.

나 또한 예외가 아니란 생각이 문득 들었다. 고향 가기는 아직이지만, 낯선 땅에 발 붙이기 반백 년에 아들에다 딸에다 손자 손녀까지 열을 넘게 두었으니 그런대로 일가를 이룬 셈 아닌가. 장미처럼 미색이 출중하여 화려한 조명은 받지 못했어도 시샘이나 꺾임도 없이, 이렇다 할 영욕榮辱의 부침浮沈도 없이, 나선 듯 숨은 듯 찔레처럼 살고 있으니 이 또한 행이 아닌가. 그러니 너도 찔레 나도 찔레, 찔레 일가란 생각이 들었다.

그 날 이후, 아침 산책길에 나서면 으레 그 찔레 일가를 찾는다. 찾아 아침 인사를 한다. 상련相憐이 아니라 상생相生의 관계임을 감사하는 눈인사를 한다. “좋은 아침, 오늘도 무사히!”라고.